평생 의례
-
부안 지역 주민들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거행하는 의례. 평생 의례는 부안 지역 주민이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죽은 이후에도 단계별로 거치는 의례로 출산 의례[산속 의례], 관례, 혼례, 상례, 제례 등을 통틀어 말한다. 이를 일생 의례, 통과 의례, 관혼상제 등이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 숭상된 유교 이념이 바탕이 되고,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영...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거행된 전통적인 성년 의례. 관례(冠禮)는 남자아이가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일종의 성년식이다. 전통 사회에서 관례는 길일(吉日)을 받아서 상투를 틀어 갓을 씌우는 의식으로, 『고려사(高麗史)』에 광종, 예종, 의종 때에 왕태자의 관례를 행한 기록이 보인다. 이로 보아 고려 왕실에서도 유교식 관례를 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유입...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남녀가 부부로 결합하기까지 거행하는 전통 의례. 혼례는 한 남자와 여자가 결합하여 가정을 꾸밀 때 올리는 의례이다. 혼례를 통하여 신랑 신부는 가정을 이루게 되고, 사회적으로는 보다 당당한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혼례의 절차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있는 의혼(議婚), 문명(問名), 납길(納吉),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거행하는 의례 과정.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언젠가는 죽게 되는데, 죽음을 처리하는 의례가 상례(喪禮)이다. 이를 ‘상장례(喪葬禮)’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 신라 이후로는 불교 의식의 흔적을 볼 수 있지만, 조선조 500년 동안은 주자의 학설을 따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거하여 상례가 실시되었다. 부안 지역에서의 상...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조상을 기리기 위해 거행하는 전통 의례. 제례(祭禮)란 조상을 추모하고 유덕을 기리는 의례로서 어버이를 받들고 조상을 숭모하는 한민족의 전형적인 풍속이다. 이러한 제례는 가정과 지역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여타의 의례에 비하면 제례의 변화는 더딘 편이라 할 수 있다. 부안 지역에서의 제례는 크게 기제...
세시 풍속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 오는 의례·속신·놀이 등의 풍속. 세시 풍속은 음력 정월인 1월부터 섣달인 12월까지 1년 단위로 순환하는 음력 시간에 따라 월별, 절기별, 계절별로 일정한 날에 의례, 놀이, 속신, 주술, 금기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래서 세시 풍속은 민족의 전통적인 풍속을 살필 수 있는 총체이며, 이를 통해...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거행하는 풍속. 설날은 음력으로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설날은 한자어로 차사(茶祀), 세수(歲首), 연수(年首), 원조(元朝), 원일(元日), 정조(正朝) 등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한 해의 첫날임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신일(愼日)이라 하여 그해 운수가 새해 첫날에 달려 있다고 믿어왔기 때문...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과 보름날에 거행하는 풍속. 대보름은 달을 표준으로 삼던 태음력(太陰曆)에서 일 년 중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이를 ‘정월 대보름’이라고도 하고,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 한다. 과거 농경이 중심이었던 당시에는 대보름날에 한 해의 세시 풍속이 집중될 만큼 설날이나 추석 못지않게 성대하게 보냈다. 그러나 지금은 큰 명절로 생각하지...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2월에 영등신과 관련된 풍속. 영등(靈登)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음력 2월 초하룻날이 되면 영등이 내려왔다가 2월 15일에서 20일 사이에 다시 올라간다고 한다. 2월 초하룻날을 ‘영등날’이라고도 하며, 영등을 ‘이월할매’ 혹은 ‘영동할매’라고 부른다. 영등날은 한 해의 기상을 결정짓는 날이다. 이날, 바람이 불면 ‘바람영등 내렸다.’고 하여 이날...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24절기 가운데 봄이 시작된다는 첫 절기에 거행하는 풍속. 입춘(立春)은 천세력(千歲曆)[백중력, 만세력]에 정해 있는데, 24절기의 첫째로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으며,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 입춘은 대개 정초인 경우가 많은데, 음력으로는 대체로 설과 대보름 사이이며, 양력으로는 2월 3~5일 사이이다. 입춘날은 특별한 명절 의식이 없...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3월 3일에 거행하는 풍속. 삼짇은 음력 3월 3일을 말하는데,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이를 ‘삼짇날’이라고도 한다. 특히 이날은 강남 간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 하여 봄기운이 왕성한 때이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는 “진달래꽃을 따다 찹쌀가루와 섞어 둥근 떡을 만든 다음 참기름에 지진 것을 화전(花煎)이라고 한다.”고...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에 거행하는 풍속. 한식(寒食)은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인식하는데,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다. 한식은 어느 해나 청명절(淸明節) 바로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에 든다. 이때는 양력 4월 5, 6일쯤으로 나무 심기에 알맞은 시기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해 나무를 심는 이유가 여기...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에 거행하는 풍속. 초파일은 음력 4월 8일을 말하며, 이날을 ‘석가탄신일’, ‘부처님 오신 날’ 등이라고도 한다. 초파일은 석가 출가일[음력 2월 8일]과 열반일[음력 2월 15일], 성도일[음력 12월 8일] 등과 함께 불교의 4대 명절 중의 하나로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이 함께 즐긴 민속 명절로 전승되어 왔다. 그래서 초파일이 되면 많은 사...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에 거행한 풍속. 단오는 양의 수인 5가 겹치는 음력 5월 5일로, 일 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다. 설날, 대보름, 추석 등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 가운데 하나로 꼽는 단오는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수리’ 등으로도 불린다. 수릿날이라는 말은 이날 수레바퀴 모양의 떡을 만들어 먹는 데서 유래...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6월 6일에 거행하는 풍속. 유두(流頭)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유둣날’이라고도 한다. 이날 아침 각 가정에서는 유두면·밀전병·수단(水團)·건단(乾團), 그리고 피·조·벼·콩 등 여러 가지 곡식을 새로 나온 과일과 같이 사당에 차려 놓고 고사를 지낸다. 이를 유두천신(流...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7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백중(百中)[혹은 百衆]은 망자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를 올리고 일꾼을 쉬게 하는 세시 풍속이다. 백중은 음력 7월 15일로, 온갖 곡식이 마련되는 때라서 ‘백종(百種)’이라고도 한다. 백중은 일 년을 반으로 나눌 때 처음 시작되는 달이 있기 때문에, 대보름을 상원이라 부르는 것에 반해서 중원(中元)이라고 한다. 호...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설날과 더불어 2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은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어지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다. 『동국세시기(...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9월 9일에 거행하는 풍속. 중구는 음력 9월 9일로 홀수, 곧 양수(陽數)가 겹치는 3월 3일 삼짇날, 5월 5일 단오, 7월 7일 칠석 등과 함께 중일(重日)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중양절(重陽節)’, ‘귀일날’ 등이라고도 한다. 특히 9월 9일은 3의 3배수가 9이기 때문에 수리학상 완전수라 하여 중히 여긴다. 이날은 3월 3일에 왔던 제비가 다...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지내는 풍속. 상달은 으뜸달이라는 뜻으로 음력 10월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이를 ‘시월상달’, ‘상월(上月)’ 등이라고도 한다. 상달은 햇곡식을 신에게 드리기에 가장 좋은 달이기에 중요하게 여기므로 대개 10월에 문중 단위로 시제[묘제]를 모신다. 또한 10월 달에는 다른 달에 꺼리는 일을 하더라도 탈이 붙지 않는다고 한다. 음력 10월이 되...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24절기 가운데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시기에 거행하는 풍속. 동지(冬至)는 글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져 밤의 길이가 일 년 중 가장 긴 날이다. 이를 ‘작은설’, ‘아세(亞歲)’ 등이라고도 한다. 동지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으며 양력으로 12월 22일,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동짓달’이라...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음력 12월 말일이면서 설 전날에 거행하는 풍속. 섣달그믐은 음력으로 한 해를 다 보내는 마지막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를 ‘섣달그믐날’이라고도 하고, 그믐날 밤을 ‘제석(除夕)’, ‘제야(除夜)’ 등이라고도 한다. 섣달그믐에는 새해 설날을 맞이하기 위하여 집안의 곳곳을 깨끗이 청소하고, 불을 환하게 밝혀놓는다. 이는 다가올 한 해에도 밝고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