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당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250
한자 石堂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04년연표보기 - 『석당유고』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시문집
저자 김상정(金相定)
편자 김기응(金箕應)
간행자 김기응(金箕應)
권책 6권 6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34×22㎝
어미 상흑어미(上黑魚尾)
권수제 석당유고권지일목록(石堂遺稿卷之一目錄)
판심제 문목록 권지일 권지이(文目錄 卷之一 卷之二)

[정의]

조선 후기 문신 김상정의 시와 산문을 엮어 1804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김상정(金相定)[1722~1788]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자는 치오(穉五), 호는 석당(石堂) 또는 북해(北海)이다. 조선 영조·정조 때의 문신으로, 승지·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되었다. 김종정(金鍾正), 이민보(李敏輔), 김종수(金鍾秀) 등과 교유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석당유고(石堂遺稿)』김상정의 아들 김기응(金箕應)이 1804년(순조 4)에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서문은 1796년에 유한준(兪漢雋)이 썼고, 발문은 1804년에 김기응이 썼다.

[형태/서지]

6권 6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판본이다. 크기는 34×22㎝이며, 반곽(半郭)은 21.9×15.8㎝이다. 행자는 10행 20자이고, 어미는 상흑어미(上黑魚尾)이다. 권수제는 ‘석당유고권지일목록(石堂遺稿卷之一目錄)’이고, 판심제는 ‘문목록 권지일 권지이(文目錄 卷之一 卷之二)’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에서부터 권3까지는 논(論) 10편, 서(序) 13편, 변(辨) 1편, 잡저 10편, 서(書) 9편, 설(說) 6편, 제문 7편, 발(跋) 3편, 기(記) 15편, 전(傳)·애사 각 2편, 소지(小識) 1편, 행장·유사·묘표 각 2편, 묘갈명 1편이 수록되었다. 권4에서부터 권6까지는 시 55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문은 대부분 국사와 봉외 관계(封外關係)에 관한 것으로, 그의 폭넓은 정치의식과 견해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김만수전(金萬壽傳)」이나 「김광협전(金光鋏傳)」에서는 김상정의 후덕한 박애 정신과 인간 윤리를 드러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석당유고』 중 「김씨의열전(金氏義烈傳)」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전기문으로, 당시의 전쟁 상황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s://nl.go.kr/)
  •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c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