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1239 |
---|---|
한자 | 信潮先生遺稿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의강 |
간행 시기/일시 | 1939년![]() |
---|---|
소장처 | 원광대학교 도서관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신동 272]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
성격 | 시문집 |
저자 | 김형덕 |
간행자 | 김준철(金晙喆)|김준철(金準喆) |
권책 | 3권 1책 |
행자 | 10행 20자 |
규격 | 29.3×20.2㎝|21.2×16.5㎝[반곽] |
어미 |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
부안 출신의 근대 유학자 김형덕의 시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김형덕(金炯德)[1858~1923]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백준(伯峻), 호는 신조(信潮)이다. 가학을 이어받아 과거 공부를 준비하다 참된 학문에 뜻을 두어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璇)의 문인이 되었다. 유학자로서의 절조를 지키며 지역에서 문학과 행실로 인정을 받았다.
『신조선생유고(信潮先生遺稿)』는 김형덕의 맏아들인 김준철(金晙喆)과 종질인 김준철(金準喆)이 시문(詩文)을 수습하여 1939년에 간행하였다. 서문은 최병심(崔秉心)이 지었고, 발문은 이기환(李起煥)이 썼다.
3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판본(石版本)이다. 크기는 29.3×20.2㎝이며, 반곽(半郭)은 21.2×16.5㎝이다. 사주 쌍변(四周雙邊)[지면의 둘레를 두 개의 검은 선으로 두름]이며, 10행 20자이다. 어미(魚尾)[책을 펼쳤을 때 중앙에 물고기 꼬리 문양의 접지표]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원광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신조선생유고』 권1에는 시(詩) 오언 절구 11수, 칠언 절구 55수, 율시 58수가 수록되었고, 권2에는 6편의 문(文)이 수록되었으며, 권3에는 부록으로 가장(家狀), 신조설(信潮說), 발문(跋文)이 수록되었다. 시는 주체의 각성을 되새기는 내용의 작품이 자주 보인다. 실용성을 띤 산문 6편 가운데 「신조자서(信潮自敍)」는 규칙성을 지닌 조수(潮水)에서 신의(信義)의 뜻을 취해 아호를 ‘신조(信潮)’로 정했음을 설명하였다.
김형덕은 망국의 상황 속에서 주경야독하며 생활한 유학자이다. 『신조선생유고』를 통해 일제의 무단 통치에 협조하지 않는 소극적 저항의 길을 택한 한학자들의 삶을 고찰할 수 있다. 자정(自靖)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성찰하는 삶의 자세가 한시 작품에서 자주 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