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1230 |
---|---|
한자 | 吉兆語 |
영어공식명칭 | Good Words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승익 |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전승되어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말.
길조어(吉兆語)는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좋은 일이 생길 조짐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어떤 현상이나 상황이 나타나면 좋은 결과로 나타난다는 기대감을 담은 말이다. 금기어는 부정적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그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반해, 길조어는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해당 행동을 많이 하게끔 유도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공동체의 규범이나 도덕적 규율, 관습을 유지하려는 점에서는 길조어와 금기어가 동일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길조어도 금기어와 마찬가지로 현대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부안군지』[1991], 김성식의 「속신」[2015] 등에 정리되어 있는 부안 지역의 길조어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곰소리 주민 김정덕[80세]에게 확인한 일부를 소개한다.
길조어는 주로 “무엇을 하면 이러이러한 긍정적인 결과가 있다”와 같은 문장 형식을 취한다. 여기에서는 생김새, 일상생활 등과 관련된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생김새 관련 길조: ①하관이 길면 명이 길다. ②귀쌀밥이 있으면 복이 있다. ‘귀쌀밥’은 ‘귓불에 만져지는 쌀알 크기의 멍울’을 의미하는 부안 방언이다. 이 멍울이 쌀알 모양으로 생긴 것에 착안하여 생겨난 말이다. ③입술이 두꺼운 사람은 먹을 복이 많다.
2. 일상생활 관련 길조: ①이사를 갈 때는 문종이를 찢고 가야 잘 산다.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원 행위로 보인다. ②이사를 한 후에 팥죽을 쑤어 울 밖에 뿌리면 좋은 일만 생긴다. ③구렁이의 비늘을 몸에 지니고 다니면 우환이 없다. ④꿈에 상여 나가는 것을 보면 재수가 좋다. ⑤가족 중 각성받이[어머니, 아들, 며느리] 세 명이 같은 달에 생일이 있으면 부자가 된다.
3. 곤충 관련 길조: ①아침에 거미를 보면 재수가 있다. ②천장에서 거미줄이 내려오면 손님이 온다. ③부엌에서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면 부자가 된다. ④개미를 접시에 밥을 놔서 키우면 집안에 좋은 일이 생긴다. ⑤마루 앞에서 신발을 벗을 때는 개미 밟지 않게 조심해서 벗어야 좋은 일이 있다. 이는 작은 생명체부터 소중히 여기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4. 방위 관련 길조: ①대문을 좌측에 내야 복이 들어온다. ②책상이나 텔레비전은 남쪽, 남서쪽으로 두어야 피곤하지 않다. ③용변을 볼 때 남쪽, 남서쪽으로 보아야 한다: 제보자의 증언에 따르면, 동쪽은 제사하는 방향이고, 북쪽[서울]은 나라님이 계신 곳이니 이쪽을 피해서 용변을 보아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