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꼬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216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0년 11월 23일 - 「줄꼬는 소리」 문화방송 조사팀이 김상원과 마을 주민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줄꼬는 소리」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에 수록
채록지 대리 마을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지도보기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남도 계면조 선법
기능 구분 세시 유희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방식
박자 구조 중중모리장단|자진모리장단
가창자/시연자 김상원|마을 주민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마을에서 줄다리기할 줄을 꼬면서 부르는 유희요.

[개설]

「줄꼬는 소리」줄다리기에 사용할 줄을 한 가닥씩 꼬면서 부르는 세시 유희요이다. 뱃줄을 꼬는 일에 더 많이 불렸던 어업 노동요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뱃줄을 칡넝쿨 등으로 꼬아 사용하였다. 줄은 선창가에서 길게 늘어서서 꼰다. 세 가닥을 다시 하나로 꼬아야 더 굵은 줄을 만들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1995년 MBC문화방송이 발간한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에 「줄꼬는 소리」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0년 11월 23일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조사팀이 부안군 위도면 대리 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가 채록한 것이다. 앞소리는 김상원[58세, 1933년생]이 부르고, 주민들이 뒷소리를 받았다. 따라서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의 CD나 관련 사이트를 통해 음원을 감상할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위도 「줄꼬는 소리」는 짧게 메기고 짧게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빠르기는 중중모리장단이다. 미라도의 미음계로, ‘미’음은 떨고, ‘라’음은 평으로 내며, ‘도’음은 단2도 아래 ‘시’음으로 급격히 꺾어내는 남도 계면조 선법으로 짜여 있다. 받는소리는 본청[라음]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각각 중중모리 한 장단에 걸쳐서 메기고 받는다. 노래가 어느 정도 경과한 뒤에는 빠르게 자진모리장단으로 넘어가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내용]

「줄꼬는 소리」의 뒷소리는 “어 여라 디 여”를 반복한다. 김상원이 메기는 앞소리는 어려운 한문투로 가득하다. 예컨대 「춘향가」에서 보면 단옷날 이 도령과 방자가 광한루에 나가 경치를 즐기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때 이 도령 치레와 방자 치레를 묘사하는 대목이 등장한다. 그러한 고문(古文)이나 고사(故事)에서 차용해 앞소리로 사용하는 것이다. 앞소리 사설은 다음과 같다.

춘하추동 사시절은/ 소리없이 지나가고

때는 좋다 봄이 왔네/ 칠산바다 추세로다

저기 섰는 선주님에/ 반사[官紗]같은 맵시 보소

김제 만경 쥐꼬리 당줄/ 벨쥐 귀믹에[銀鉤纓子] 대모관자

산호동곳 호박풍잠/ 통영사인[絲笠] 밀화갓끈

갑사 쾌자 구승사대/ 맵시 있게 차려 입고

연말자[綿襪子] 줄편자[줄변자]으/ 주사당사 서초[扇錘] 달고

아해 불러 대 들리고/ 주막집을 찾어가니

이전 저전 가관일레/ 일야지간(日夜之間) 주체 세움

고성수성 하는 소리/ 대동선(大同船)에다 돈을 싣고

평안도로 상고(商賈) 가세/ 어여라 디여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