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073
한자 喪禮
이칭/별칭 상장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상례 - 전라북도 부안군 일대
성격 통과 의례

[정의]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거행하는 의례 과정.

[개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언젠가는 죽게 되는데, 죽음을 처리하는 의례가 상례(喪禮)이다. 이를 ‘상장례(喪葬禮)’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 신라 이후로는 불교 의식의 흔적을 볼 수 있지만, 조선조 500년 동안은 주자의 학설을 따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거하여 상례가 실시되었다.

[절차]

부안 지역에서의 상례는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임종(臨終), 수시(收屍), 초혼(招魂), 사잣밥, 상주 및 호상(護喪), 수의와 관, 장지(葬地) 준비 등의 초종례, 시신을 처리하는 습렴(襲殮), 성복(成服), 조문, 상여놀이 등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우제(虞祭)와 탈상(脫喪)까지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특이한 점은 백산면의 경우, 초혼할 때 망자의 이름을 부르는 대신 군수의 이름을 부르면서 망자의 윗옷을 지붕 위로 던진다는 것이다. 또한 하관할 때에 관을 한 번 쓸어 낸 공포를 사람들이 가져가서 보관하면 사업이 번창하고, 배를 가진 사람이나 운전하는 사람도 사고 예방이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부안 지역의 상례는 오늘날 점차 간소화되어 삼 년 복을 입는 경우는 거의 없고, 백일에 탈상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소상·대상·담제·길제 등의 의식도 거의 없어진 상황이다. 또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상을 당하면 마을에서 공동으로 일을 치르지 않고 상업화된 장례식장을 이용하는 점이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을 내에서 상여를 메거나 함께 음식을 장만하고 고생해 줄 사람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상 전날에 사람들이 모여서 빈 상여를 메고 놀거나 ‘상엿소리’를 하는 풍습 등은 부안 지역뿐만 아니라 여느 지역에서도 보기 힘든 광경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