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683 |
---|---|
한자 | 許然旭 |
영어공식명칭 | Heo Yeonuk |
이칭/별칭 | 성화(聖化),우란(又蘭)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장순순 |
출생 시기/일시 | 1888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1940년 - 허연욱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장 재임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허연욱 전라북도 부안 줄포금융조합 감사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52년 - 허연욱 명륜학원 설립자 대표로 삼남중학교 설립 |
활동 시기/일시 | 1953년 - 허연욱 전라북도 교육 위원으로 선출 |
몰년 시기/일시 | 1954년![]() |
출생지 | 허연욱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
거주|이주지 | 허연욱 거주지 - 전라북도 부안군 |
활동지 | 허연욱 활동지 - 전라북도 부안군 |
성격 | 행정가|교육가 |
성별 | 남 |
본관 | 태인|시산 |
대표 경력 | 부안군 산내면 면장|연백 군수|전라북도 교육 위원 |
전라북도 부안 출신의 행정가이자 교육가.
허연욱(許然旭)[1888~1954]은 일제 강점기에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면장으로 재임했다. 광복 후에 연백(延白) 군수에 임명되었으나 6·25 전쟁이 발발하여 취임하지 못했다. 전라북도 교육위원회 부의장, 임시 의장 등을 역임했다.
본관은 태인(泰仁)[시산(詩山)], 아버지는 남파(南波) 허환(許桓)이다. 시산 부원군(詩山府院君) 허포(許褒)의 후손이며, 지평 허사문(許斯文)의 17세손, 수운판관(水運判官) 허진동(許震童)의 11세손이다.
허연욱은 1888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마포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수학했고, 이후에 신학문을 수학했다. 1924년부터 1940년까지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장을 지냈다. 1936년 6월 명승지로 알려진 채석강(彩石江)의 채석정(彩石亭) 및 변산 주변의 정각(亭閣) 건축·공개 사업 때는, 정조영(鄭祚永), 송극중(宋克重), 신세원(辛世源), 김재일(金在一), 김철곤(金哲坤)과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연백 군수에 임명되었으나 6·25 전쟁으로 취임하지 못했다. 1952년 명륜학원 설립자 대표로서 삼남중학교의 설립 인가 획득 및 개교에 기여했다. 삼남중학교는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용계길 29[선은리 135]에 있다. 1953년 교육 자치제가 실시되자 전라북도 교육 위원에 선출되고, 부의장이 되었다. 허연욱은 1954년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