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678
한자 金相浹
영어공식명칭 Gim Sanghyeop
이칭/별칭 남재(南齋)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0년연표보기 - 김상협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7년 - 김상협 경복중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7년 - 김상협 일본 야마구치고등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0년 - 김상협 일본 야마구치고등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40년 - 김상협 일본 도쿄대학교 법학부 정치과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2년 - 김상협 일본 도쿄대학교 법학부 정치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6년~1949년 - 김상협 고려대학교 정경대 조교수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49년~1951년 - 김상협 고려대학교 정경대 부교수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51년~1970년 - 김상협 고려대학교 정경대 교수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김상협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김상협 유엔 총회 한국대표단 일원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62년 1월 9일~1962년 10월 14일 - 김상협 문교부 장관 재임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김상협 동아일보사 감사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67년~1970년 - 김상협 동아일보사 이사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0년~1975년 - 김상협 고려대학교 총장 재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김상협 성곡학술문화재단 이사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김상협 한국반공연맹 이사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김상협 운정장학재단 이사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7년 9월 1일 - 김상협 고려대학교 총장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김상협 헌법개정심의위원회 부위원장,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2년~1983년 - 김상협 국무총리 재임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김상협 국정 자문 위원으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85년~1991년 - 김상협 대한적십자사 총재로 재임
몰년 시기/일시 1995년 2월 21일연표보기 - 김상협 사망
출생지 김상협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김상협 거주지 -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도쿄대학교 - 일본 도쿄
활동지 김상협 활동지 - 서울특별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성격 교육가|행정가
성별
본관 울산
대표 경력 고려대학교 총장|문교부 장관|국무총리|대한적십자사 총재

[정의]

전라북도 부안 출신의 교육가이자 행정가.

[개설]

김상협(金相浹)[1920~1995]은 일제 강점기인 1937년 일본으로 건너가 야마구찌고등학교[山口高等學敎]를 거쳐 1942년 동경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 법학부 정치과를 졸업하였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부터 1970년까지 정치학자로서 고려대학교 정경대 교수를 지냈으며, 1970년에 고려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동아일보사 이사,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국정 자문 위원,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도 역임했다. 평생 동안 교육계와 정치계에서 활동했고, 박정희(朴正熙) 정권에서의 문교부 장관, 전두환(全斗煥) 정권에서의 국무총리 등 정치적 이력은 주로 군부 정권 하에서 만들어졌다.

[가계]

본관은 울산(蔚山). 호는 남재(南齋)이다. 할아버지는 호남 거부였던 김경중(金暻中)이다. 아버지는 경제인으로 일제 강점기 때 경성방직과 삼양사 초대 회장을 지낸 김연수(金䄵洙)이며, 어머니는 박하진(朴夏珍)이다. 부인은 김인숙(金仁淑)이다. 큰 형은 김상준(金相駿)으로 천일염 제조·판매업체인 삼양염업사 회장을 지냈다. 고려대학교 설립자이자 동아일보사 사장을 지낸 김성수(金性洙)는 큰 아버지이다.

[활동 사항]

김상협은 1920년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에서 출생했다. 1940년 일본 야마구치고등학교를 거쳐 1942년 현 도쿄대학교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46년 고려대학교 정경대 조교수가 되었고, 1949년~1951년 부교수, 1951년~1970년 교수를 지냈다. 1960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1961년에는 유엔 총회 한국대표단 일원으로도 활동했다. 1962년 문교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9개월 만에 사퇴하고 복직하였다. 1967년 동아일보사 이사, 1970년~1975년과 1977년~1982년 고려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1970년 12월 성곡학술문화재단 이사로 선출되었고, 1971년 2월 한국반공연맹 이사가 되었다. 1974년 3월 9일 운정장학재단의 창립과 함께 이사로 선출되었으며, 5월 25일부터 40여 일 간 서독, 미국, 일본을 방문해 무상 교육 원조, 학술 문화 체육에 관한 교류 확대 문제 등에 관한 협의도 했다.

1975년 4월 8일 정부가 「긴급 조치 7호」를 선포해 고려대학교 휴교 조치, 모든 교내 집회·시위 금지, 학교 내 군 진주 등의 조치를 취하자, 임기 5개월을 남긴 4월 10일에 휴교령 사태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고 총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1977년 9월 1일 다시 고려대학교 총장으로 복귀했다. 1980년 3월 신군부 하에서 대통령 직속 자문 기관인 헌법개정심의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위촉되었고, 10월 28일 5공화국 출범을 위한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82년 6월 국무총리가 되었다가, 1년 5개월여 만인 1983년 10월 14일에 전 국무 위원과 함께 일괄 사표를 제출하며 물러났다. 같은 달 9일 전두환 대통령 순방 중에 발생한 버마 아웅산 국립묘지 폭발 사건 여파 때문이었다. 이듬해인 1984년 1월 25일에는 국정 자문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85년~199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로 재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에는, 1985년 8월과 12월 평양과 서울에서 제9차 남북 적십자 회담과 제10차 남북 적십자 회담이 번갈아 개최되었다. 1985년 9월 20일~9월 23일에는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과 예술 공연단이 서울과 평양을 동시에 교환 방문했다. 1989년 9월 29일~11월 27일에는 제2차 고향 방문단 및 예술 공연단 교환 방문 실현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 대표 회의가 7차에 걸쳐 열리기도 했다. 1987년 4월 도산기념사업회(島山記念事業會)의 창립과 함께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1991년 8월 대한적십자사 총재직에서 물러난 후 고려대학교 명예 총장으로 있다가 1995년 2월 21일 사망했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기독교 민주주의』[1963], 『사회 민주주의』[1963], 『교도 민주주의』[1963], 『모택동 사상』[1964], 『지성과 야성』[1980], 『월남 이상재 연구』[1986] 등이 있다.

[묘소]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에 있는 국립대전현충원 국가 사회 공헌자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66년 5월 경희대학교, 1971년 2월 연세대학교, 1982년 10월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 12월 국민 훈장 모란장, 1983년 수교 훈장 광화 대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