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609 |
---|---|
한자 | 金銘 |
영어공식명칭 | Gim Myeong |
이칭/별칭 | 여신(汝新),화곡(火谷)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장순순 |
출생 시기/일시 | 1545년![]() |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 - 김명 생원시 합격 |
몰년 시기/일시 | 1619년![]() |
추모 시기/일시 | 1768년 - 김명 유천서원 배향 |
출생지 | 김명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
거주|이주지 | 김명 이주지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
사당|배향지 | 유천서원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길 89-38[영전리 212-3]![]()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부안(扶安) |
조선 전기 부안 출신의 학자.
김명(金銘)[1545~1619]의 본관은 부안(扶安)이며, 자는 여신(汝新), 호는 화곡(火谷)이다. 문정공(文貞公) 김구(金坵)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주부(主簿) 김경정(金景貞)이다. 죽계(竹溪) 김횡(金鈜)[1541~1590]이 그의 형이다.
김명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형인 죽계 김횡과 함께 학문에 힘썼다. 이에 김명의 학명(學名)이 널리 알려져 경향 각지의 석학들과 교유하게 되었다. 그중 친교가 깊었던 인물로는 월사 이정구(李廷龜)와 율곡 이이(李珥)를 들 수 있다. 월사 이정구는 김명의 학문을 아끼어 벼슬길에 나오기를 청하였으나 김명은 끝내 벼슬은 하지 않았다. 61세 되던 1605년(선조 38)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만년에 전라남도 장성군 개암[현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제암마을의 옛 이름]으로 옮겨 살았는데, 그곳에서 후진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냈다. 근처에 살던 현주(玄洲) 조찬한(趙讚韓)과는 서로 학문을 교류하였으며, 마음을 터놓고 시국을 논하기도 하였다. 문장이 제일이었던 김명은 1600년(선조 33) 정유재란으로 불타버린 부안향교와 부안 객사인 부풍관(扶風館)을 중건할 때 신축 상량문을 지어 그 글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김명의 문집인 『화곡선생유고(火谷先生遺稿)』는 1915년에 간행되었다. 서문은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이 지었고 발문은 후손인 김병술(金炳述)과 김수철(金水喆)이 지었다. 2권 1책으로 시(詩), 서(書)의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768년(영조 44)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길 89-38[영전리 212-3]에 있는 유천서원(柳川書院)에 배향되었다. 1893년(고종 30) 후손들이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제암마을에 화곡 김선생 유허비(火谷金先生遺墟碑)를 세웠으며, 비문은 기우만이 지었다. 1937년 화곡 김선생 유허비로부터 50m거리에 새로 비와 비각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