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445 |
---|---|
한자 | 壯東里土城 |
이칭/별칭 | 천배산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 406-41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대/삼국 시대,고대 /남북국 시대,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강원종 |
현 소재지 | 장동리 토성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 406-41![]() |
---|---|
성격 | 토성 |
양식 | 테뫼식 산성 |
크기(높이,길이,둘레) | 325m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 천배산에 있는 원삼국 시대~고려 시대 토성.
장동리 토성(壯東里土城)은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 천배산(天培山)[42.8m]의 가장자리를 토루(土壘)의 형태로 두르고 있는 평면 원형의 토성이다.
장동리 토성에 대한 고문헌은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다. 다만 『고적 조사 자료』에서 “토축(土築)이며 주위는 약 150간, 원형으로 높이는 9척이다[土築 周圍 約150間 圓形으로 高 9尺]”라 하였고, 『문화 유적 총람』에는 “부안(扶安) 장동리 성지(壯東里城址),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김홍원(金弘遠)이 의병 1,000명을 모집하여 이곳에서 훈련하였으며, 채홍국(蔡弘國) 등과 합류하여 전공을 세우고 나주 목사가 되고 사방 10리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토축으로 지금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은 길이가 약 450m, 높이는 약 3m 정도가 된다. 성 내외(城址內)에는 김홍원의 묘 외에 4기의 묘가 있는데 김 공(金公)의 묘비는 이완용(李完用)이 쓴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장동리 토성은 부안군 줄포면 장동리 406-41번지에 있다. 줄포면 소재지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정읍 방면의 지방도 제710호선을 따라 340여 m 가면 천배 공원 입구 사거리가 나오는데, 이 입구로 들어가 245m 정도 가면 천배산 아래에 도착한다. 토성이 자리하고 있는 천배산은 부안군 줄포면 소재지의 북동쪽에 솟아 있는 낮은 산으로, 산의 남쪽에는 줄포초등학교가 있고 서쪽에는 원장동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테뫼식 산성으로 둘레는 325m이다. 토성의 형태는 평면 원형으로 산의 가장자리를 따라 토축하였고, 그 안쪽에 토루가 돌아가고 있다. 지금은 천배 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장동리 토성의 규모는 『고적 조사 자료』의 “토축이며 주위는 약 150간, 원형으로 높이는 9척이다”라는 말을 참고하면, 1간이 약 1.82m이므로 150간은 약 273m이다. 1960년대 조사 당시 토루의 둘레의 실측 결과는 325m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 1977년 발행된 『문화 유적 총람』에는 길이가 약 450m로 기록되어 있어서 추후 정밀한 측량 조사가 필요하다. 토루의 바깥 경사면의 길이는 약 7m, 안쪽 경사면의 길이는 약 4m이고, 토루의 상면 너비는 1.2m 내외이며, 안쪽에는 너비 8m~9m 내외의 회랑도가 둘러져 있다. 성의 내부는 완만하게 오르며, 정상부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던 해옹(海翁) 김홍원의 신도비와 대형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성문은 남쪽과 북쪽에서 확인되는데, 북문 터는 산 정상부의 서북쪽, 남문 터는 정남향에 해당한다. 북문 터의 너비는 약 8m, 남문 터의 너비는 약 9.2m이다. 유물은 삼국 시대 토기 편과 기와 편, 고려 시대 기와 편 등이 수습된 바 있다.
장동리 토성은 지금의 줄포만과는 불과 2㎞ 정도 떨어져 있고, 동쪽으로 1㎞ 지점에는 서해안 고속 도로 건설 시 조사되었던 장동리 유적이 자리하고 있다. 장동리 유적에서는 원삼국 시대 주거지 33기가 조사된 바 있어, 장동리 토성은 이들 집단과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