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653
한자 高平
영어공식명칭 Go Pyeong
이칭/별칭 고인석(高仁鉐),고찬(高鑽)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6년연표보기 - 고평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고평 광복군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8년 - 고평 재만동지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5년 - 고평 하남성 방공구국연맹 제1군단 사령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39년 - 고평 하북성 제3소비 사령부 군법 처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고평 하북성 군관학교장 역임
추모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고평 건국 훈장 독립장 추서
출생지 부안현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보광중학교 -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경성 관립 법관양성소 - 서울특별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중부의군부 참모장

[정의]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부안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고평(高平)[1886~?]은 1919년 중국 길림성 연길에서 광복단을 조직하여 간도 지방에서 독립 만세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활동을 하였다. 또한 의군부를 조직하고 중부의군부 참모장이 되어 일본군에 타격을 입히는 등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가계]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충렬공(忠烈公)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후예이다. 9대조 고응익(高應翼)이 창평[현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일대에 있던 옛 고을]에서 부안 운호[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로 들어와 살았으며 아버지는 고재갑(高在甲)이다. 원래 이름은 고인석(高仁鉐)인데 독립운동을 하면서 ‘고평(高平)’으로 개명하였다. 고찬(高鑽)으로도 불렀다.

[활동 사항]

고평은 경성 관립 법관양성소를 졸업하고 춘천지청 검사에 임명되었으나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곧바로 사임하였다. 고평이 독립운동을 하기로 결심한 것은 1911년 대종교에 입교하고 나서이다. 1919년 2월 중국 길림성(吉林省)의 연길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 박동원(朴東轅)의 집에서 이홍준(李弘俊), 이성근(李聖根), 구춘선(具春先), 김영학(金永學), 유예균(劉禮均), 고동환(高東煥), 이동식(李東植) 등 독립운동가 33명이 모여 광복군을 조직하는 데 참여하였다. 또 국내에서 3·1 운동이 일어나자 간도 지방에서도 독립 만세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활동하면서 조선독립기성총회에 가입하였다.

1919년 4월 이범윤(李範允), 진학신(秦學新) 등이 무장 투쟁을 전개하고자 연길현에서 의군부(義軍府)를 조직하고 이범윤이 본부 총재를 맡았는데 고평은 중부의군부 참모장이 되었다. 고평의 부대는 노야령(老爺嶺)에서 중국 토군(土軍)과 일본군을 격퇴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이후 고평은 고려혁명군 참모장으로 400여 명의 군사를 양성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하는 한편, 1928년 재만동지회를 조직하는 데 앞장서며 만주 지역으로 이주한 교민들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였다. 1935년 중국 본토로 근거지를 옮기고 하남성 방공구국연맹 제1군단 사령관과 참모장을 지냈으며, 1939년 하북성 제3소비 사령부 군법 처장, 1940년 하북성 군관학교장 등을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2년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부안군지』 (부안문화원, 2015)
  •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