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566
한자 光山金氏
영어공식명칭 Gwangsan Gimssi|Gwangsan Gim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원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광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입향지 광산 김씨 입향지 -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지도보기|진서면 석포리지도보기
세거|집성지 광산 김씨 세거지 -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지도보기|진서면 석포리지도보기
성씨 시조 김흥광(金興光)
입향 시조 김주만(金冑萬)|김증여(金增汝)|김영환(金永煥)|김우보(金禹堡)|김창현(金昌鉉)|김우태(金遇泰)|김성발(金聖發)|김낙현(金樂鉉)

[정의]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주만·김증여·김영환·김우보·김창현·김우태·김성발·김낙현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부안군의 세거 성씨.

[연원]

광산 김씨(光山金氏) 시조는 김흥광(金興光)으로 신라 제49대 헌강왕(憲康王)의 셋째 아들이라고 전한다. 김흥광이 통일 신라 후기 나라에 난리가 날 것을 미리 알고 무진주 서일동[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으로 자리를 옮겨 학문을 닦으며 살았고, 그 후손들이 선조의 세거지인 광산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이후 이곳에서 평장사(平章事)가 많이 나 ‘평장동’이라고 불렀다.

광산 김씨는 조선조에 들어 많은 인물을 배출하여 명문가로 손꼽혔다. 특히 충청도 연산(連山)에 살았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김장생의 아들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은 부자가 문묘(文廟)에 배향되었고 그 후손 중에 뛰어난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다.

[입향 경위]

부안의 광산 김씨는 문숙공파(文肅公派) 김주정(金周鼎)의 후손이 많다. 김주정은 고려 원종(元宗) 때 명신(名臣)으로 지도첨의사(知都僉議事)를 지내고 원(元)과의 외교 등 국정에 공이 많았다. 몽고가 고려와 연합하여 일본을 정벌할 때 참전하였고, 사후 문숙(文肅) 시호를 받았다. 김주정의 13세손 세마(洗馬) 청헌(廳軒) 김주만(金冑萬)이 숙종(肅宗) 때 전라남도 장성에서 백산면 거마(巨麻)[현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에 들어와 살았다.

시중공파(侍中公派) 김증여(金增汝)는 전라남도 함평에서 부안으로 들어왔다. 김증여는 고려에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김유(金流)의 후손이다.

녹사공파(綠事公派) 김영환(金永煥)은 고려 때 가안부 녹사(嘉安府綠事)를 지낸 김광로(金光輅)의 후손으로 부안에 입향하였다. 역시 녹사공파인 김우보(金禹堡)는 성종(成宗) 때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김국광(金國光)의 8세손으로 서울에서 부안으로 들어와 그 자손이 세거하고 있다.

김창현(金昌鉉)은 김장생의 후손으로 전라남도 장성에서 부안으로 들어와 살았다.

양간공파(良簡公派) 김우태(金遇泰)는 고려 후기 두문동(杜門洞) 72인의 한 사람인 김승길(金承吉)의 후예이며 사헌부 지평과 승문원 교리를 지낸 김석원(金錫元)의 5세손이다. 영조(英祖) 때 전라남도 함평에서 부안으로 들어왔고, 그 후손이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돌개]를 세거지로 하여 살고 있다.

김성발(金聖發)은 조선의 개국 공신(開國功臣)이었던 총제사(摠制使) 김계지(金繼志)의 후손으로 조선 후기 전라북도 정읍에서 부안으로 들어왔다.

삼사공파(三司公派) 김낙현(金樂鉉)은 조선 후기 전라남도 나주에서 부안으로 들어왔다.

[현황]

2015년 인구 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부안군에는 광산 김씨 1,855명이 살고 있다. 그러나 지역마다 입향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같은 광산 김씨라도 서로 촌수가 멀다.

[관련 유적]

부안군 백산면 망산길 36-27[평교리 564번지]에 김주만을 배향한 첨소재가 있으며, 김주만의 묘가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560-1번지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