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538
한자 伽倻琴倂唱[朴선옥]
영어공식명칭 Gayageum-Byeongchang[Bak Seonok]
이칭/별칭 선향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56년 1월 29일연표보기 - 박선옥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74년 - 박선옥 박귀희 명창 문하에서 가야금 병창 사사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박선옥 전국 가야금 병창 대회 성인부 장려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8년 - 박선옥 제16회 전국 국악 대제전 가야금 병창 우수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9년 - 박선옥 제17회 전국 국악 대제전 대통령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9년 - 박선옥 제10회 서울 국악 대경연 가야금 병창 장원
활동 시기/일시 2006년 - 박선옥 장보고 국악 대전 국악 지도자 교육자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8년 - 박선옥 장보고 국악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20년 6월 5일연표보기 - 박선옥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49호 가야금 병창 예능 보유자 지정
출생지 박선옥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덕림리지도보기
활동지 박선옥국악예술민속연구원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부풍로 61-1[서외리 36-6]지도보기
성격 가야금 명인
성별
대표 경력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49호 가야금 병창 예능 보유자

[정의]

부안 출신의 가야금 명인.

[개설]

가야금 병창(伽倻琴倂唱)이란 민요, 단가, 또는 판소리의 한 대목을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함께 부르는 형태이다. 가야금 병창은 조선 후기 명창인 신만엽(申萬葉)과 김제철(金齊哲)이 가야금에 맞도록 기악화시켜 창안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김창조(金昌祖), 오수암(吳守岩) 등에 의해서 다듬어지고 심상건(沈相健), 강태홍(姜太弘), 오태석(吳太石), 정남희(丁南希) 등에 의해 크게 발전하였다. 가야금 병창곡으로 자주 불리는 노래는 「새타령」·「호남가」·「죽장망혜(竹杖芒鞋)」·「녹음방초(綠陰芳草)」·「공명가(孔明歌)」와 같은 단가와, 판소리로는 「춘향가」 중 ‘사랑가’, 「흥보가」 중 ‘제비 노정기’, 「수궁가」 중 ‘고고천변(皐皐天邊)’, 「심청가」 중 ‘심봉사 황성 가는 대목’, 「적벽가」 중 ‘자룡 활쏘는 대목’ 등이 주로 불린다.

[활동 사항]

박선옥은 1956년 1월 29일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덕림리에서 태어났다. 14세부터 부안국악원에서 판소리를 배웠다. 1974년부터 박귀희[국가 무형 문화재 제23호, 본명 오계화(吳桂花)] 명창에게 가야금 병창을 배웠다. 가야금 병창의 전승 계보는 다양하지만, 박귀희제 가야금 병창은 김창조(金昌祚)[1865~1919]를 시작으로 오수관(吳壽寬)-오수관의 아들 오태석(吳太石)[1895~1953]-박귀희(朴貴姬)[1921~1993]로 이어지면서 맥이 전승되고 있다. 박귀희제 가야금 병창은 판소리로 단련된 소리 실력과 가야금 실력을 바탕으로 가야금 병창이 구성되어 있으며, 독창적인 장르로 계승되고 있다.

박선옥은 2001년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박선옥국악예술민속연구원을 개원하였다. 2006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에 같은 이름으로 박선옥국악예술민속연구원을 개원하였다. 2020년 6월 5일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49호 가야금 병창 예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현재 박선옥국악예술민속연구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1983년 전국 가야금 병창 대회 성인부 장려상을 수상했다. 1998년 제16회 전국 국악 대제전에서 가야금 병창으로 우수상을 수상했다. 1999년 제17회 전국 국악 대제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제10회 서울 국악 대경연에서 가야금 병창으로 장원을 하였다. 2006년 장보고 국악 대전에서 국악 지도자 교육상을 수상했다. 2008년 장보고 국악상을 수상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